본문 바로가기

Tools/git5

협업 시 필요하 git 명령어 👥 협업 시 꼭 알아야 할 핵심 Git 명령어 & 상세 설명명령어역할상세 설명git clone원격 저장소 복제GitHub에 올라간 저장소를 로컬로 복사하여 팀원이 작업을 시작할 수 있게 함.git pull최신 코드 가져오기원격 저장소(GitHub)에서 최신 변경 사항을 내려받고 자동으로 병합함. 협업 시 가장 자주 사용.git fetch최신 정보만 가져오기병합은 하지 않고, 원격 저장소의 최신 커밋 정보만 가져옴. pull보다 안전한 방식.git merge브랜치 병합다른 브랜치의 작업 내용을 현재 브랜치에 합치는 명령어. 충돌 해결 필요할 수 있음.git branch브랜치 생성 / 보기기능별로 작업 공간을 나눌 때 사용. 협업 시에는 브랜치 전략을 잘 짜는 것이 중요함.git checkout브랜치 이동.. 2025. 7. 6.
개인 개발자가 Git을 사용할 때 필요한 핵심 기능 개인 개발자가 Git을 사용할 때 꼭 알아야 할 핵심 기능 10가지 실제 예각 기능은 무엇인지(기능), 왜 사용하는지(이유/효과), 그리고 **실제 사용 예시(명령어 중심)**를 포함. 📋 개인 개발자를 위한 Git 핵심 기능 정리표기능설명사용 예효과 / 이유git init현재 폴더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git init프로젝트를 버전 관리 가능하게 만듬. 초기 설정이므로 첫 단계에서 필수.git add수정한 파일을 커밋 대상으로 준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림)git add index.htmlgit add .변경된 내용을 커밋에 포함시킬지 선택 가능. 실수 방지에 도움.git commit실제로 버전으로 저장git commit -m "메인 페이지 추가"변경 내용을 하나의 '스냅샷'으로 저장. 되돌리기 가능.. 2025. 6. 27.
Git 기본 사용법 📁 1. 폴더 만들기 및 이동✅ 새로운 Git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면 폴더(작업공간)가 필요합니다.mkdir myproject cd myproject 🌱 2. Git 저장소 초기화 ✅ 효과: Git이 이 폴더 안의 파일들을 추적할 수 있게 됨 git init 📄 3. 파일 만들기✅ 이유: Git이 추적할 대상이 있어야 하므로 파일을 하나 만듭니다. echo "Hello Git!" > hello.txt 🔍 4. 상태 확인✅ 효과: 어떤 파일이 변경되었는지, 어떤 파일이 커밋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음git status ➕ 5. 파일 추가 (스테이징)✅ 이유: 커밋 전에 "이 파일을 저장할 거야" 하고 선택하는 과정✅ 효과: Git이 해당 파일을 다음 커밋 대상으로 준비 git add hello.tx.. 2025. 6. 22.
git의 설치 🧰 Git 설치 단계 (Windows 기준)🔽 1단계. Git 설치 파일 다운로드▶️ https://git-scm.com 접속🖱️ “Download for Windows” 클릭자동으로 시스템에 맞는 .exe 파일이 다운로드됨⚙️ 2단계. 설치 마법사 실행.exe 파일 더블 클릭하여 설치 시작License 화면: "Next" 클릭설치 경로 설정: 기본 경로 (C:\Program Files\Git) 그대로 진행하거나 원하는 위치 설정기능 선택 화면:“Git Bash Here” / “Git GUI Here”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Windows Explorer integration” 활성화 추천🪟 3단계. 기본 설정 선택 항목권장 선설정기본 편집기Vim 또는 Notepad++편한 에디터 선택환경 변수Gi.. 202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