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봅시다] 개방형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네트워크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는 통신망 구성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화해서 서버 단에서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설비투자(CAPEX)와 운용비(OPEX), 설치 면적, 에너지 소비량 등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통신 업계의 새로운 메가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방성(Openness)'은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화해 상용(COTS) 하드웨어에서 운영하기 위한 핵심적 사항 중 하나입니다. 개방형 솔루션은 NFV에 참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의 폭을 넓히기 때문입니다. 통신 장비 제조업체들은 NFV아키텍처에 개방형 전략을 적용해 새로운 솔루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연결로 인한 데이터 트래픽 증가 추이에 맞춰 네트워크 인프라를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개방형 NFV 전략을 바탕으로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총 소유비용(TCO)도 낮출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개방형 NFV 전략의 기본 원칙은 현재 통용되고 있는 핵심 표준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표준 정립의 목표는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업체들(ISV Independent Software Vendors)의 에코시스템을 중심으로 개발된 NFV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간의 플러그인 상호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개방형 표준 구축에 여러 과제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이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면 NFV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NFV 솔루션 도입을 가로막는 장애 요인이 될 것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당장 솔루션을 적용해야 하는 시장 상황을 고려했을 때 표준 수립 과정이 상대적으로 늦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솔루션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업체들은 진화하고 있는 표준에 대응해야 하는 한편, 강력한 차별성을 확보하고, 시장 출시 시점을 맞춰야 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가상화의 기반이 되는 NFV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개방형 NFV 전략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자체 개발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돼 기본적인 가상화 기능을 제공하는 베어본(bare-bone) 소프트웨어부터 플랫폼 통신사의 엄격한 요구에 맞춰 설계된 캐리어 그레이드(Carrier Grade)의 'VNF-레디(Virtual Network Function-Ready)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시장에는 여러 개방형 NFV 플랫폼들이 출시돼 있습니다.
다양한 제품 중 기업 IT 환경에 맞는 NFV 플랫폼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확인 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NFV 플랫폼이 주요 개방형 표준을 적극적으로 준수하고 있는가' 입니다. NFV 플랫폼 공급업체라면 모든 NFV 관련 개방형 표준을 지원하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표준 구축에 앞장서야 합니다. 오픈스택(OpenStack), 욕토 프로젝트(Yocto Project),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DPDK(Data Plane Development Kit) 등 핵심적인 표준들을 위한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주요 네트워크 장비 업체와 API 정의와 개발, 실시간 하이퍼바이저 기능 등과 관련된 단체에 활발한 실질적 기여하고 있는지 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는 'NFV 플랫폼이 벤더 중립적인 표준 호환 API를 채택하고 있는가'입니다. NFV 솔루션의 상호호환성을 위해, NFV 플랫폼은 가상네트워크기능(VNF)를 위한 API를 비롯해 노스바운드(Northbound) NFV 오케스트레이터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컨트롤러를 위한 API 등 모든 종류의 유관 API 표준에 부합하는 총체적인 오픈 아키텍처 소프트웨어를 반드시 확보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NFV 플랫폼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앞서 기능을 적용하고, 수정 버전을 제공하는지, NFV 솔루션이 차별화된 비 오픈소스 (Non-open source)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지, 완전하게 통합된 형태로 즉시 적용이 가능한지도 중요합니다. 또, NFV 플랫폼이 하드웨어와 VNF 업체들을 포함한 폭넓은 에코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최우영 윈드리버코리아 네트워크 사업 총괄이사는 "고객들이 NFV 솔루션을 위한 플랫폼을 선택할 때 개방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지만, 개방성은 보이는 것처럼 절대 단순하지는 않다"며 "개방성에 대한 필요 요구사항들이 다각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고, 특히 플랫폼의 벤더 중립성, 통합 완성도와 에코시스템 지원 등 5G 네트워크 비즈니스를 위한 진정한 개방성이 확보되는지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송혜리기자 shl@
도움=윈드리버 코리아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2328613